맨위로가기

템펠-터틀 혜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템펠-터틀 혜성은 1865년 에른스트 템펠에 의해 발견되었고, 1866년 호레이스 터틀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된 주기 혜성이다. 이 혜성은 사자자리 유성군의 모혜성으로, 약 33년 주기로 지구에 접근하며, 1965년에 재발견되었다. 템펠-터틀 혜성은 역행 궤도를 가지며,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가 가깝기 때문에 사자자리 유성군에서 밝고 빠른 유성을 발생시킨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핼리형 혜성 - 핼리 혜성
    핼리 혜성은 약 76년 주기로 태양을 공전하는 주기 혜성으로, 기원전 240년경 최초 관측 이후 뉴턴의 법칙으로 주기성이 예측되었고, 1910년과 1986년에 근접 관측이 이루어졌으며, 얼음과 먼지로 이루어진 핵이 태양 접근 시 코마와 꼬리를 형성한다.
  • 근지구 혜성 - 엥케 혜성
    엥케 혜성은 약 3.3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 주기 혜성으로, 1786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요한 프란츠 엥케가 과거 기록 분석으로 귀환을 예측했고, 황소자리 유성군의 모체로 여겨지며 궤도 불안정으로 섭동 영향을 많이 받아 과거 에테르 존재 검증에 사용되기도 한 과학사적으로 중요한 혜성이다.
  • 근지구 혜성 - 브로르선 혜성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이다.
  • 주기 혜성 - 엥케 혜성
    엥케 혜성은 약 3.3년의 짧은 공전 주기를 가진 주기 혜성으로, 1786년 처음 관측되었으며 요한 프란츠 엥케가 과거 기록 분석으로 귀환을 예측했고, 황소자리 유성군의 모체로 여겨지며 궤도 불안정으로 섭동 영향을 많이 받아 과거 에테르 존재 검증에 사용되기도 한 과학사적으로 중요한 혜성이다.
  • 주기 혜성 - 브로르선 혜성
    브로르선 혜성은 1846년 테오도르 브로르센에 의해 발견된 5.5년의 궤도 주기를 가진 단주기 혜성이다.
템펠-터틀 혜성
기본 정보
빌헬름 템펠의 혜성 55P 스케치, 1865년 12월 19일
빌헬름 템펠의 혜성 스케치 (1865년 12월 19일)
발견자빌헬름 템펠, 호레이스 터틀
발견일1865년 12월 19일
임시 명칭1366 U1, 1699 U1, 1699 II, 1865 Y1, 1866 I, 1965 M2, 1965 IV, 1965i, 1997 E1
궤도 정보
역기점2031년 5월 14일 (JD 2463000.5)
지구 최소 궤도 교차 거리0.008 천문 단위 (AU)
궤도 긴반지름10.46 천문 단위 (AU)
근일점 거리0.9644 천문 단위 (AU)
원일점 거리19.96 천문 단위 (AU)
궤도 이심률0.9078
공전 주기33.83 율리우스년
궤도 경사162.57°
마지막 근일점 통과1998년 2월 28일
다음 근일점 통과2031년 5월 20일
물리적 특징
핵의 크기3.6 km
추가 정보
관련 유성우사자자리 유성우
궤도 애니메이션
태양 주변을 도는 55P/템펠-터틀 혜성의 궤도 애니메이션
태양 주변
지구 주변을 도는 55P/템펠-터틀 혜성의 궤도 애니메이션
지구 주변

2. 관측사

템펠-터틀 혜성은 1865년 12월 19일 프랑스 마르세유천문학자 에른스트 템펠이 발견했고, 1866년 1월 6일 미국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호레이스 터틀이 별도로 발견했다.[1] 1월 11일에 근일점을 통과했으며[2], 2월 9일까지 관측되었다.[1] 그러나 1899년과 1932년에는 혜성이 돌아올 것으로 예상했지만 관측되지 않아 행방불명되었다.[1]

이후 영국의 존 하인드가 868년1366년의 혜성이 템펠-터틀 혜성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1933년 일본의 칸다 시게루는 868년의 혜성은 관련이 없지만, 중국에서 관측된 1366년의 혜성은 템펠-터틀 혜성이라고 결론지었다. 1965년 독일의 요아힘 슈바르트(Joachim Schubart|요아힘 슈바르트de)는 1366년의 혜성뿐만 아니라 고트프리트 키르히가 관측한 1699년의 혜성도 템펠-터틀 혜성이라고 증명했다.[1] 이러한 과거 관측 기록을 바탕으로 1965년에 혜성이 다시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되었고, 실제로 1965년 6월 3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혜성이 재확인되었다.[1] 1965년 혜성은 16등급 정도로 매우 어두웠다.[1]

2. 1. 발견 및 초기 관측

1865년 12월 19일, 프랑스 마르세유천문학자 에른스트 템펠이 템펠-터틀 혜성을 발견했고, 이듬해 1866년 1월 6일에는 미국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호레이스 터틀이 별도로 발견했다.[1] 1866년 1월 11일에 근일점을 통과했으며[2], 1866년 2월 9일까지 관측되었다.[1] 그러나 예상되었던 1899년, 1932년의 혜성 회귀는 관측되지 않아 행방불명되었다.[1]

2. 2. 과거 기록과의 연결

1860년대 후반, 영국의 존 하인드는 868년1366년의 혜성이 템펠-터틀 혜성일 수 있다고 추정했다. 1933년 일본의 칸다 시게루는 상세한 분석을 통해 868년의 혜성은 관련이 없지만, 중국에서 관측된 1366년의 혜성은 템펠-터틀 혜성이라고 결론지었다. 1965년 독일의 요아힘 슈바르트(Joachim Schubart|요아힘 슈바르트de)는 과거 500년간의 궤도 계산을 실시하여 1366년의 혜성뿐만 아니라 고트프리트 키르히가 관측한 1699년의 혜성도 템펠-터틀 혜성임을 증명했다.

2. 3. 혜성의 실종과 재발견

1899년과 1932년에 예상되었던 혜성의 회귀는 관측되지 않아 행방불명 상태였다. 1965년, 과거 궤도 계산을 통해 혜성이 1965년에 회귀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1965년 6월 30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혜성이 재확인되었다. 1965년 회귀 시 혜성은 16등급 정도로 매우 어두웠다.

3. 지구와의 접근

템펠-터틀 혜성은 지구와 최소 궤도 교차 거리가 매우 가까운 혜성이다. 1366년에는 지구에 0.0229 AU까지 접근했는데, 이는 혜성 중 역대 두 번째로 가까운 접근 기록이다.

3. 1. 궤도 특성

템펠-터틀 혜성은 지구와의 최소 궤도 교차 거리가 0.00848 AU로 상당히 가깝다. 1366년에는 지구에 0.0229 AU까지 접근했는데, 이는 지금까지 혜성 중 두 번째로 가까운 접근이다.

4. 사자자리 유성군

1867년, 이탈리아조반니 스키아파렐리는 1866년의 템펠-터틀 혜성이 사자자리 유성군유성 물질과 거의 같은 궤도임을 발견하고 모천체일 가능성을 지적했다。 혜성이 유성군의 모천체로 밝혀진 것은 이것이 두 번째이다. 첫 번째 예는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의 모천체인 스위프트-터틀 혜성으로, 이 또한 스키아파렐리의 지적이었다。

템펠-터틀 혜성은 궤도 경사각이 162°인 역행 궤도이므로, 이 혜성 기원의 먼지는 지구와 거의 정면 충돌하며 상대 속도는 72 km/s에 달한다. 이는 모든 유성군 중에서 가장 빠르다. 이 때문에 미세한 먼지도 밝은 유성이 되며, 사자자리 유성군에서 많은 유성이 관측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사자자리 유성군은 약 33년마다 발생하며, 2009년에 관측된 사자자리 유성군은 1466년과 1533년에 통과했을 때의 잔해이다。

4. 1. 모혜성

1867년, 이탈리아조반니 스키아파렐리는 템펠-터틀 혜성이 사자자리 유성군의 모혜성임을 밝혀냈다. 이는 혜성이 유성군의 모체로 밝혀진 두 번째 사례이다. (첫 번째는 스위프트-터틀 혜성과 페르세우스자리 유성군)

템펠-터틀 혜성은 궤도 경사각이 162°로 지구와 거의 정면 충돌하며, 상대 속도는 72 km/s에 달해 모든 유성군 중 가장 빠르다. 이 때문에 미세한 먼지도 밝은 유성이 되며, 사자자리 유성군에서 많은 유성이 관측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사자자리 유성군은 약 33년마다 발생하며, 2009년에 관측된 유성군은 1466년과 1533년에 혜성이 통과했을 때의 잔해이다.

4. 2. 유성우의 특징

템펠-터틀 혜성은 궤도 경사각이 162°로 역행 궤도를 가진다. 이 때문에 혜성에서 방출된 먼지는 지구와 거의 정면으로 충돌하며, 상대 속도는 초속 72km에 달한다. 이는 모든 유성군 중 가장 빠른 속도이다. 이러한 빠른 속도로 인해 미세한 먼지도 밝은 유성이 되며, 이는 사자자리 유성군에서 많은 유성이 관측되는 원인 중 하나이다.[1]

사자자리 유성군은 약 33년 주기로 발생한다. 2009년에 관측된 사자자리 유성군은 1466년과 1533년에 혜성이 통과했을 때 남겨진 잔해이다.[2]

4. 3. 대한민국에서의 관측

템펠-터틀 혜성의 유성 물질은 궤도가 지구와 거의 정면으로 충돌하여 상대 속도가 72 km/s에 달한다. 이는 모든 유성군 중에서 가장 빠른 속도이다. 이 때문에 미세한 먼지도 밝은 유성이 되며, 사자자리 유성군에서 많은 유성이 관측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사자자리 유성군은 약 33년마다 발생하며, 2009년에 대한민국에서 관측된 사자자리 유성군은 1466년과 1533년에 혜성이 통과했을 때 남긴 잔해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MS: 55P/Tempel-Tuttle http://cometography.[...]
[2] 웹사이트 Comet 55P/Tempel-Tuttle Through History https://www.astro.um[...]
[3] 웹사이트 Archive of Leonid dust trail positions in 1833 https://web.archive.[...]
[4] 웹사이트 Leonids 2021-2030 http://feraj.ru/Radi[...] 2021-06-10
[5] 웹사이트 From Cradle To Grave: The Rise and Demise of the Comets http://www2.ess.ucla[...] 2009-11-12
[6] 웹사이트 55P/Tempel-Tuttle http://www.aerith.ne[...] Seiichi Yoshida's Comet Catalog 2005-12-12
[7] 웹사이트 55P/Tempel-Tuttle past, present and future orbital elements http://jcometobs.web[...] 1999-09-16
[8] 웹사이트 55P/Tempel-Tuttle Orbit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4-06-16
[9] 웹사이트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55P/Tempel-Tuttle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10] 웹사이트 Closest Approaches to the Earth by Comets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2-06-28
[11]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55P/Tempel-Tuttle (90000621) at 1832-Dec-16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9-06
[12]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55P/Tempel-Tuttle (90000621) at 1998-Jan-17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9-06
[13]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55P/Tempel-Tuttle (90000621) at 2031-Feb-25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9-05
[14] 웹사이트 Horizons Batch for 55P/Tempel-Tuttle (90000621) at 2031-May-20 23:45:52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8-26
[15] 웹인용 55P/Tempel-Tuttle http://www.aerith.ne[...] Seiichi Yoshida's Comet Catalog 2005-12-12
[16] 웹인용 55P/Tempel-Tuttle Orbit http://www.minorplan[...] Minor Planet Center 2014-06-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